Elena
김시습의 시(1) 안녕하세요, 아까 추우의 얘기처럼, 김시습은 우수한 시인과 소설가입니다. 그의 문학세계를 알게 해주는 현존 자료로는 그의 시문집은 『매월당집』과 전기집(傳奇集) 『금오신화』가 있습니다. 제가 김시습의 시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현재까지 김시습의 시는 전하는 것만 하더라도 2,200여수나 되지만 실제로 그가 지은 시편은 이보다 훨씬 더 많습니다. 진짜 부지런한 시인입니다. 우선 같이 그의 시를 통해 그분 시의 풍격을 알아봅시다. 曉意(효의)―金時習(김시습) 새벽의 마음-金時習(김시습) 昨夜山中雨,今聞石上泉 窓明天欲曙,鳥聒客猶眠 室小虛生白,雲收月在天 廚人具炊黍,報我懶茶煎 여러분 이 시를 읽을 때 어떤 느낌이 있습니까? 이 시는 재미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읽은 후에 우리 유치원 입학하기 전에 이미 외우는 맹호연의 시 『춘효』가 생각이 났습니다 春晓——孟浩然 春眠不觉晓,处处闻啼鸟。 夜来风雨声,花落知多少? 시인 맹호연이 푹 자고 저절로 일어났습니다. 깨어보니 여기저기 새 지저귀는 소리 들렀습니다. 밤새 비바람 소리 들렸는데, 꽃이 얼마나 떨어졌는지 궁금합니다. 시인은 아마 아직 침대에 누워 있습니다. 시인이 듣기, 회상, 상상 등 시각 밖에 느낌으로 구성한 봄 아침 세계를 우리에게 보여 주었어요. 이거 바로 이 시의 제일 빛나는 점입니다. 그럼 우리 다시 김시습의 효의를 보면 느낌이 달라졌습니까? 회상하는 어제 밤의 산속에 비, 지금 듣고 있는 바위샘 물소리와 새가 지저귀는 소리, 보는 밝은 창 그리고 창 밖에 구름이 걷힌 후 나타나는 달 등등 이미지를 통해 시인은 작은 방에서 한적한 아침을 묘사했습니다. 두시를 같이 보면 아마 『춘효』의 구상이 더 절묘한데 효의는 독특한 점도 있습니다. 여기 室小虛生白(실소허생백)은 전고를 인용했습니다. 출처는 장자 《庄子·人间世》: “瞻彼阕者,虚室生白,吉祥止止。”입니다. 허실새백은 방을 비우면 빛이 그 틈에서 들어와 환하다는 뜻으로, 무념무상의 경지에 이르면 저절로 진리에 도달할 수 있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입니다. 室小虛生白,雲收月在天 여기 실은 방의 뜻만 아니고, 시인 마음 이런 의미도 있습니다. 잡념을 다 버리고, 진리, 지혜를 깨달아서 그때 마음이 뿐만 아니라 하늘에 걸려 있는 달도 밝아졌습니다. 마지막에 廚人具炊黍(주인구취서) ,報我懶茶煎(보아라다전), 시인은 자기와 수다를 떠는( 调侃)느낌이 있는 것 같습니다. 중국 시 사에 정취, 중국어로 象外之意 또는韵味를 중시합니다. 이 시는 읽을 때 말처럼 통속적이며 이해할 수 없는 것이 없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더 자세히 읽으면 평단 중에 어떤 정취가 풍부합니다. 이런 표준으로 김시습의 『曉意』를 보면 좋은 시입니다.
May 24, 2015 11:25 AM
Corrections · 1

김시습의 시(1)

안녕하세요, 아까 추우(?)의 얘기처럼, 김시습은 우수한 시인이자 소설가입니다. 그의 문학세계를 알게 해 주는 현존 자료로는 시문집 『매월당집』과 전기집(傳奇集) 『금오신화』가 있습니다. 제가 김시습의 시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현재까지 김시습의 시는 전하는 것만 하더라도 2,200여수나 되지만 실제로 그가 지은 시편은 이보다 훨씬 더 많습니다. 진짜 부지런한 시인입니다.
우선 시를 통해 그분 시의 풍격을 알아봅시다.
曉意(효의 새벽의 정취)―金時習(김시습)

昨夜山中雨(작야산중우) 어제 밤 산중에 비 오더니,

今聞石上泉(금문석상천) 이제 돌 위의 샘물 소리 들리네.

窓明天欲曙(창명천욕서) 窓 밝으매 하늘은 맑으려 하고,

鳥刮客猶眠(조괄객유면) 새 소리 요란해도 손은 아직 잠자고 있네.

室小虛生白(실소허생백) 방은 작아도 훤하게 밝아 오고,

雲收月在天(운수월재천) 구름 걷히자 달은 하늘에 떠 있네.

廚人具炊黍(주인구취서) 부엌의 사람은 기장밥 지어 놓고

報我嬾茶煎(보아난차전) 나더라 차다림 늦다고 하네


여러분 이 시를 읽을 때 어떤 느낌이 있습니까? 이 시는 재미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시를 읽은 후에 우리나라에서 유치원 입학하기 전에 이미 외우는 맹호연의 시 『春晓(춘효)』가 생각이 났습니다
春晓—孟浩然
春眠不觉晓,处处闻啼鸟。
夜来风雨声,花落知多少?
시인 맹호연이 푹 자고 저절로 일어났습니다. 깨어보니 여기저기 새 지저귀는 소리습니다. 밤새 비바람 소리 들렸는데, 꽃이 얼마나 떨어졌는지 궁금합니다. 시인은 아마 아직 침대에 누워 있습니다. 시인이 듣기, 회상, 상상 등 시각외의 느낌으로 구성한 봄 아침 세계를 우리에게 보여 주었어요. 이것이 바로 이 시의 제일 빛나는 점입니다. 그럼 다시 김시습의 효의를 보면 느낌이 달라졌습니까?
회상하는 어제 밤의 산속에 비, 지금 듣고 있는 바위샘 물소리와 새가 지저귀는 소리, 밝은 창 그리고 창 밖에 구름이 걷힌 후 나타나는 달 등의 이미지를 통해 시인은 작은 방에서 한적한 아침을 묘사했습니다. 두 시를 같이 보면  『춘효』의 구상이 더 절묘하지만 효의는 독특한 점 있습니다. 내용중 室小虛生白(실소허생백)은 전고를 인용했습니다. 출처는 장자 《庄子·人间世》: “瞻彼阕者,虚室生白,吉祥止止。”입니다. 허실백은 방을 비우면 빛이 그 틈에서 들어와 환하다는 뜻으로, 무념무상의 경지에 이르면 저절로 진리에 도달할 수 있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입니다.
室小虛生白,雲收月在天
여기 실은 방의 뜻만 아니고, 시인 마음을 나타내는 의미도 있습니다. 잡념을 다 버리고, 진리, 지혜를 깨닫게 되자 마음 뿐만 아니라 하늘에 걸려 있는 달도 밝아졌습니다. 마지막 구절의 廚人具炊黍(주인구취서) ,報我懶茶煎(보아다전)에서 시인은 자기와 수다를 떠는( 调侃)느낌이 있는 것 같습니다.
중국 시사에서는 정취(중국어로 象外之意 또는韵味)를 중시합니다.
이 시는 읽을 때 일상대화처럼 쉽게 묘사하고 있어서 이해할 수 없는 것이 없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더 자세히 읽으면 평범한 문구 중에 어떤 정취가 풍부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김시습의 『曉意』를 보면 좋은 시입니다.

May 24, 2015
Want to progress faster?
Join this learning community and try out free exerci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