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Y777
"우선시하다" , "우선하다" 두 형식 단어는 실제 사용할 때 차이가 있나요? 좀 가르쳐주시겠어요? 혼자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어요. 한국어 능력시험에서 나온 연습 문제를 푸는 중이에요. 그런데 궁금한 게 있는데요. ........... 한국어 능력시험에서 나온 연습 문제는 copy할 수 없어요 . 그래서 그 시험 문제는 사진 방식으로 제 개인 블로그에 올렸어요 (제목 : " 한국어 능력 시험 풀기 1 "부분요 ^^). 시험 문제를 읽으시려면 잠깐 아래 제 블로그에 가서 읽으세요 ~ http://taiwanaries.pixnet.net/blog/post/349546078-%ED%95%9C%EA%B5%AD%EC%96%B4%20%EB%8A%A5%EB%A0%A5%20%EC%8B%9C%ED%97%98%20%ED%92%80%EA%B8%B0%201 ............. 시험 문제 내용을 풀면서 이해가 안 되는 단어가 생각보다 많네요. ㅠㅠ. 지금 궁금한 문장 부분은 , 내용 중에서 나온 "반면 평등을 우선시하는 진부주의자들은 시장을 자율에 맡기기보다 국가가 개입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내용 중의 " 우선시하는 "부분요. 궁금한게 사전으로 검색해보니까 "우선시하다" , "우선하다" 두 형식 단어가 있는데요. 만약에 시험에 나온 이 문장은 아래처럼 "우선하다" 로 바꾸면 괜찮고 맞아요? "반면 평등을 우선하는 진부주의자들은 시장을 자율에 맡기기보다 국가가 개입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또 "우선시하다" , "우선하다" 두 형식 단어는 실제 사용할 때 그냥 마음대로 사용해도 되나요? 아니면 "우선시하다" , "우선하다" 두 형식 단어는 따로 사용할 때 신경 써야 하는 부분이 있나요? 시간이 괜찮은 분이 계시면 좀 가르쳐주시겠어요? 시간을 내주시고 가르쳐주면 감사하겠습니다 ^^ ~
10 janv. 2019 16:43
Réponses · 2
시(視) : ‘그렇게 여김’ 또는 ‘그렇게 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시하다는 사람이 주어일 때 사용합니다. 우선하다 : A가 B보다 우선하다, A가 B에 우선하다(A,B:명사) 우선시하다 : A는 B보다 C를 우선시하다. (A:사람, B,C:명사)
11 janvier 2019
예문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우선시하다 : A는 (B보다) C를 우선시한다. 우선하다 : A사안이 B사안보다 우선한다. 영어 문법에 비춰 설명하자면 우선하다는 자동사 우선시하다는 타동사라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우선 + ~시하다(종결어미) = 우선시하다 여기에서 "~시하다"는 앞에 결합된 단어처럼 여긴다(본다. 시視)는 의미를 가집니다.
11 janvier 2019
Vous n'avez pas encore trouvé vos réponses ?
Écrivez vos questions et profitez de l'aide des locuteurs natif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