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Y777
"~나마 " & "~이나마" 로 관한 예문을 좀 만들어주시겠어요? 감사합니다 ^^ 혼자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어요. 한국어 능력시험에서 나온 연습 문제를 푸는 중이에요. 그런데 궁금한 게 있는데요. 아래 시험에나 나온 대화 내용이에요. ........... 남자:국내 배구 선수로는 처음으로 해외무대에 진출한 김미경 선수 나와 계시는데요.지난 1년 어떠셨는지 말씀 좀 해 주시죠. 여자 :처음에 말이 잘 안 통해서 힘들었는데요.팀 동료들이 잘 챙겨 줘서 금방 적응할 수 있었습니다.초반에 다리 부상으로 한 달간 경기에 못 나갔을 때 많이 답답했는데요.복귀 후에는 팀이 우승하는 데 조금이나마 힘이 된 것 같아 기뻤습니다 .......... 위에 내용에 대한 궁금함이 있는데요. 내용에서 나온 "조금이나마 힘이 된 것 같아 기뻤습니다 " 위에 문장에서 나온 "~이나마"부분요. 인터넷으로 검색해봤는데 "~나마 " & "~이나마" 두 가지 있는데요. "~나마 " & "~이나마"는 저에게 처음 본 표현인데 어떤 생황이나 어떤 내용을 이 표현을 써야 하는지 몰라요. 관한 것을 좀 가르쳐주시겠어요? 그냥 가르쳐주시면 힘드시면 "~나마 " & "~이나마" 로 다른 예문을 좀 더 만들어주시겠어요? 그런 예문을 많이 보면 "~나마 " & "~이나마"에 관한 사용법을 더 알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요. 시간을 내주시고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15 févr. 2019 04:04
Réponses · 4
1
안녕하세요, IVY777님 나마는 '어떤 상황이 이루어지거나 어떻다고 말하기에는 부족한 조건이지만 아쉬운 대로 인정됨을 나타내는 보조사'인데요. 최선의 선택이 아닌 경우에 쓰이지만, 그러한 선택이 상황상 어쩔 수 없다는 의미가 깔려 있고 또 마음에 흡족하지는 않지만 그러한 선택을 어느 정도 긍정한다는 태도를 드러낼 때 쓰입니다. 예문으로는, 다음과 같이 쓰입니다. ㅡ먼발치로나마 보게 되어 기뻤다. ㅡ이렇게 전화로나마 목소리를 들으니 한결 마음이 놓이는구나. ㅡ우리는 이 단서로 막연하나마 사건의 실마리를 찾아 나갈 수 있게 되었다. ㅡ네 덕에 늦게나마 일을 마칠 수 있었다. ㅡ너나마 와 주어서 다행이다. 그럼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15 février 2019
1
잠시나마 너를 의심했다니, 내가 어리석었어. // =(비록)잠시지만 너를 의심했다니, 잠시라도 너를 의심했다니 작지나마 꽤 쓸만한 휴대용 칼이다. 꿈에서나마 널 볼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 =꿈에서라도 잠깐이나마 볼 수 있어 좋았다. //=잠깐이지만 ----- '조금이나마 / 잠깐이나마' 외에는 자주 사용하는 표현은 아니라서 예시 만드는 게 익숙하지가 않은 표현이에요. 체언(=명사,noun), 부사어(adverb) 뒤에 -나마/이나마. 1)-나마 -> 받침이 없을 경우 ex) 의리나마 있으니 다행이다. (체언) // 너와 같이나마 함께 했던 걸로 만족한다 (부사어) 2)-이나마-> 받침이 있을 경우 ex) 사업은 망했지만 돈이나마 남아서 다행이다. (체언) // 조금이나마 힘이 되었다면 그걸로 됐다(부사어) 주의! '-으나마'는 다른 표현이에요. '=-하지만, -지만'이라는 의미로 사용합니다. ex)크기는 작으나마(=작지만), 성능은 좋은 손난로입니다. 졸업이 늦었으나마(=늦었지만) 취업까지 늦지는 않았다.
15 février 2019
Vous n'avez pas encore trouvé vos réponses ?
Écrivez vos questions et profitez de l'aide des locuteurs natif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