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Y777
“물에 빠지다" 하고 “물에 빠뜨리다" 두 단어는 사용할 때 차이가 뭐인지 좀 가르쳐주시겠어요? 감사합니다 한국어를 혼자 공부하고 있어요. 그런데 혼자니까 궁금한 건 있어요 ㅎㅎ. ............................ 지금 궁금한 건 “물에 빠지다" 하고 “물에 빠뜨리다" 사용할 때 차이가 뭐예요? “빠지다”하고 “빠뜨리다” 두 단어는 그냥 사전으로 검색하면 의미가 비슷한 것 같아요...... “빠지다”하고 “빠뜨리다” 에 대해서 사용 때 차이점 좀 가르쳐주시겠어요? 그냥 설명하기 어려우시면 “물에 빠지다”하고 “물에 빠뜨리다” 로 다른 짧은 문장을 몇 개 더 만들어주실 수 있으세요? 그런 문장을 많이 읽으면 단어에 대해 어떻게 사용하는지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요.감사합니다 ^^
2017年4月23日 06:39
回答 · 2
1
1) 물에 빠진 '대상'에 초점을 두는지, 물에 빠지게 한 '주체'에 초점을 두는지에 따라 다름. 물에 빠지다 : 물에 빠진 '대상'이 강조됨. ex) 철수가 물에 빠졌다. (철수가 빠졌다는 게 중요.) 물에 빠뜨리다 : 물에 빠지게 한 '주체'가 강조되는 표현. 따라서 주어가 있어야 함. ex) 영희가 철수를 물에 빠뜨렸다. (영희가 빠뜨린 행위에 초점을 둠) 철수를 물에 빠뜨렸다. (틀린 표현) 2) 물에 빠뜨린 주체가 있는지 없는지 여부가 차이남. 물에 빠지다 : 물에 빠지게 한 주체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음 ex) 철수가 물에 빠졌다 : 영희가 철수를 밀었을 수도 있고, 철수가 발을 헛디뎌서 빠졌을 수도 있음 운전자의 실수로 인해, 차가 물에 빠졌다. 영희가 철수를 밀어서 철수가 물에 빠졌다. 물에 빠뜨리다 : 누군가 물에 빠지게 한 사람이 있음. ex) 영희가 철수를 물에 빠뜨렸다. 3) 물에 빠지게 된 원인에 따라 차이남 빠지게 한 주체가 사람이 아닌 경우(예 : 태풍), '물에 빠뜨리다'를 쓰는 것은 어색함. ex) 태풍 때문에, 차가 물에 빠졌다. (O) 태풍이 차를 물에 빠뜨렸다. (X) 문법적으로 완전히 틀린 표현은 아니나, 어색함.
2017年4月23日
빠뜨리다(= 빠지게 하다)는 빠지다의 사동사(使動詞)입니다 물에 빠지다(주동사) 溺水 : 자동사로 목적어가 없습니다. 물에 빠뜨리다(사동사) 使溺水 : 타동사로 목적어가 필요합니다. 보트가 흔들려서 나는 물에 빠졌다. 그는 간신히 물에 빠지지 않고 살았다 이 전화기는 물에 빠뜨렸기 때문에 고장난 것이다. 불어나는 물을 급히 피하느라 그들은 몇몇 값비싼 장비를 빠뜨렸다. 사동사 : 스스로 하지 않고 남에게 어떤 동작이나 행동을 하게 합니다. 먹이다의 -이-, 맞히다의 -히-, 울리다의 -리-, 감기다의 -기-, 깨우다의 -우-, 달구다의 -구-, 맞추다의 -추- 등이 사동사를 만듭니다.
2017年4月23日
まだあなたの答えが見つかりませんか?
質問を書き留めて、ネイティブスピーカーに手伝ってもらいましょ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