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읽기 요약 - 통과 의례
통과 의례는 무엇인가? 출생이니 사춘기니 죽음이니 하는 인생의 관문은 모든 이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것이다. 즉 한 사람의 일생 중에서 반드시 치러야/겪어야 하고, 또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만한 중요한 의례를 말한다.
이것은 통과 의례는 나라마다 형식은 다르지만 그 형식이 지닌 의미는 같다는 말한다. 이 의례는 개인의 인생과 사회 공동체에 대한 의미를 가진다./개인의 인생은 이 의례로부터 사회 공동체라는 특성을 부여받는다. (원래문장에서 주어와 목적어, 즉 의미를 누구에게 또는 어느 것에 부여한다라는 대상이 없었어요. 이 의례를 통해 다음에는 어느것 또는 누가 목적어자리에 부여하는지에 대한 주어가 있었어야 해요.)
인류학자인 케넵은 통과 의례를 네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작명 의례는 태어나 자신만의 이름을 갖게 되고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떳떳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둘째, 입문 의례는 한 지위에서 다른 지위를 넘어가거나 아이가 성년이 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혼례는 미혼자가 기혼자가 됨 또는 결혼식을 말한다. 넷째, 장레는 현세에서 내세로 가는 것을 기념하는 것이다.
또 통과 의례는 세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쩨 단계는 "분리"이다. 원래 생활양식에서 완전히 분리되기 위해 일정 기간 사회적으로, 육체적으로 격리되어 지낸다는 말이다. 그 예로 아프리카의 성년식이 있다.
두 번째 단계는 "전이"이다. 사회적으로 어떠한 지위도 인정받지 못하는 불안정한 상태의 시기를 말한다. 취업 준비생 바로 이 예이다.
세 번째 단계는 의례의 완성 과정인 "통합"이다. 개인이 새로운 지위를 획득해서 사회에 재입문하는 시기를 의미한다. 결혼 반지를 사용하는 것은 바로 이 예이다.
한국인의 유사한 통과 의례의 종류는 5가지가 있다. 첫째, 출산 의례는 임산부의 시기를 지나 출산하는 과정, 삼칠일, 백일, 돌까지 등을 말한다. 둘째, 관례는 만 20세의 성년식이다.셋째, 혼례는 남녀의 결합을 사회적으로 인정을(공인은 국가나 이름있는 단체에서 인정을 받을 때 써요.) 받는 것이다. 넷째, 상례는 사람이 죽어서 장례를 치르는 의식이다. 다섯, 제례는 돌아가신 조상에게 음식을 올려 정성을 표하는 것이다.
한국인의 통과 의례 특징을 살펴본다면 놀이와 관련이 있다. 이는/이것은(이들은 사람들을 받는 대명사입니다.)주로 잔치에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혼인 잔치에서 신랑 매달기 놀이와 회갑 잔치에서는 부모님을 기쁘게 해 드리는 것들이 있다. 이를 보면 각 놀이에는 한국인이 이를 통해 그 단계들를 즐기고자 하는 의미도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