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Y777
"인식하다"에 관한 것을 좀 가르쳐주시겠어요? 감사합니다 ^^ 혼자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어요. 그런데 궁금한 게 있는데요. 아래 한국어 능력 시험에서 나온 내용이에요. ............ 어떤 사람들은 경제적 여유를 얻게 되면서 삶의 무료함을 느끼기도 한다. 그런데 사람들은 이런 무료함을 별것 아닌 사소한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무료함은 개인의 행복한 삶을 저해하는 하나의 요소가 될 수도 있다. 돈이나 명예로는 남부럽지 않을 것 같은 사람들이 무료함 때문에 사회 일탈 행동을 하기도 하고 무료함이 심해져 우울증으로까지 발전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무료함은 간과해도 되는 사소한 것이 아니다. 다음 의 주제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① 경제 여유가 있는 사람들이 무료함에 빠지기 쉽다. ② 사회적 일탈 행동은 돈과 명예가 없는 데에서 기인한다. ③ 무료함을 가볍게 여기지 말고 그 심각성을 인식해야 한다. ④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우울증을 예방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 제가 궁금한 게 위에 시험 문제 " ③ 무료함을 가볍게 여기지 말고 그 심각성을 인식해야 한다. "요. 내용 중 " 인식해야 한다 " 나온 단어"인식하다"는 무슨 의미예요? 또한 "인식하다"는 저에게 처음 본 단어인데 관한 사용법이 몰라요. 혹시 시간이 괜찮의신 분이 계시면 "인식하다"로 다른 예문을 좀 만들어주시겠어요? 그런 예문을 보면 "인식하다"는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더 알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요. 시간이 괜찮으신 분이 계시면 좀 가르쳐주시겠어요? 시간을 내주시고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2019년 3월 21일 오후 2:06
답변 · 2
한국말을 정말 잘 하시네요. 저는 전문적인 선생님은 아니지만 도움이 되고자 답변을 드립니다.

“인식하다”는 “알다”와 비슷하게 쓰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문제를 알고 고치다.”를 “문제를 인식하고 고치다.”라고 바꿔서 사용할 수 있어요. 뜻은 같습니다.

중국인이신 것 같아서 알려드릴게요. “알다”는 순우리말이고 “인식認識하다”는 한자어에요. 그래서 더 어려운 단어라고 볼 수 있어요.

둘은 뜻에서도 약간의 차이가 있어요.

“문제를 알다.”까지만 쓰면 문제를 정확히 이해한건지 불분명해요. 하지만 “문제를 인식하다.”는 문제를 좀 더 정확하게 파악(이해)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어요.

“알다”가 “know"로 해석 된다면 “인지하다”는 “recognize"라고 해석 됩니다. “인지”라는 것이 좀 더 머리로 상황을 파악(이해)하는 느낌이에요.

저는 원어민이라 이렇게밖에 설명을 못하겠네요^^; 참고로 인식하다의 유의어(비슷한 말)은 ‘알다, 깨닫다, 느끼다, 그리고 의식하다’가 있어요.

2019년 3월 21일
인식해야한다=잘 알아야 한다 둘이 비슷하다고 보시면 될 것 같네요 사전에는 이렇게 나와있네요 [사물을 분별하고 판단하여 알다] 예문 현실을 인식하다 그들은 현재의 상황을 안정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듯하다 국민들은 이번 선거를 비교적 공정했던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관료주의에 젖은 관리들은 문제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예술은 단지 신이 창조한 자연 속에서 형상을 인식하여 그것을 모방할 따름이다 혹시 사전 안 쓰시나요? 이 사이트를 이용하실 수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링크는 걸어둘게요 https://ko.dict.naver.com/#/entry/koko/e2d2d66b50bf4468b5f8a7069635abcf
2019년 3월 21일
아직도 답을 찾지 못하셨나요?
질문을 남겨보세요. 원어민이 도움을 줄 수 있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