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n W.
유행을 타고 가다 "유행을 타다" "유행을 타고 가다" 차이가 있습니까? 감사합니다!
22 Oca 2014 01:33
Yanıtlar · 8
1
The meaning of the phrase '유행을 타고 가다' depends on the meaning of the verb '타다'.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that phrases could interpreted differently in another context. For examples, 한국은 1970년대에 미니스커트가 유행을 타고 갔다. 한국은 1970년대에 미니스커트가 유행이 되었다가 사그라졌다 오늘날에는 한류(韓流, Han-ryu)가 전세계로 케이팝(K-pop)이라는 유행을 타고 간다. 오늘날에는 한류가 '케이팝'이라는 유행을 따라 전세계로 퍼지고 있다. 이 옷은 유행을 타고 가는, 그런 옷이 아니에요. 그래서, 꾸준히 잘 팔립니다. 이 옷은 유행에 영향을 받는, 그런 옷이 옷이에요. 그래서, 꾸준히 잘 팔립니다.
22 Ocak 2014
"유행을 타다" "유행을 타고 가다" 설명하기 편하도록, 조금 더 쉬운 예로 바꾸어 보겠습니다. 철수가 버스를 탔다. 철수가 버스를 타고 갔다. 1. 연결어미 '-고'가 순서의 의미로 쓰인 경우. 철수가 버스를 탔다. and (then) 갔다. 절수가 버스를 타고 갔다. '철수가 버스를 탔다'는 것은 '버스에 철수의 몸을 실었다(to load/get one's body on a bus )'는 뜻입니다. 하지만, 이 말은 단지, '철수가 버스를 탔다'는 한 가지 사실만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철수가 탄 버스가 (어디로) 가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버스가 움직이지 않고 계속 정지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반면에, '철수가 버스를 타고 갔다'는 철수가 버스를 탔고, 그 버스가 갔다/이동했다는 두 가지의 사실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2. 연결어미 '-고'가 방법과 수단의 의미로 쓰인 경우 철수가 갔다. . 철수가 (어떻게?, How?) 갔다. 철수가 버스를 타고(by bus) 갔다. '유행을 타다'는 '유행이 되다'는 의미도 있지만, '유행을 따르다(to follow the trend/vogue)'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22 Ocak 2014
Hâlâ cevap bulamadın mı?
Sorularını yaz ve ana dil konuşanlar sana yardım ets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