اعثر على معلِّمي الإنجليزية
Lindsay.rees
Difference between 있어? 있니? 있나? 있냐?
١٦ نوفمبر ٢٠١٢ ٠٤:٢٣
الإجابات · 1
니: by adding behind 어간(stem) of ‘이다’ or 어간 of 용언(predicate) or 어미(ending word) ‘-으시-’, ‘-었-’, ‘-겠-’ it is 종결어미, means that sign to ask or question. it is use to talk more soft and close feeling, than ‘-냐’ 아버님은 어디 갔다 오시니? 너는 밥을 먹었니? 이것 좀 네가 해 주겠니? 아직 10시밖에 안 되었는데 자니? 냐: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형용사 어간, ‘ㄹ’ 받침인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는다.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아버님은 어디 갔다 오시냐? 너는 밥을 먹었냐? 이것 좀 네가 해 주겠냐? 아직 10시밖에 안 되었는데 자냐? 이것은 누가 만들었어? who made this? 이것은 누가 만들었나? who made this? or is this made by human's hand? 나: 1."~하게"체의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자네 언제 떠나나? 이제 그만 떠나게. 자네 그 소식 듣고 얼마나 기뻤나? 여보게, 자네가 날 도와주겠나? 제발 나 좀 도와주게 2. "~해(명령조)"의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군대처럼 상하 관계가 분명하고 격식이 중요한 사회에서 많이 쓴다. 뭐 하나? 김 일병, 춥나? 장군님께서는 출발하셨나? 시킨 일은 다 했나? 자네 혼자서 그 일을 해낼 수 있겠나?
١٦ نوفمبر ٢٠١٢
لم تجد إجاباتك بعد؟
اكتب اسألتك ودع الناطقين الأصليين باللغات يساعدون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