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men
DST 데이라이트사이빙타임 미국에선 1년에 2번씩 시차가 바뀝니다. 겨울엔 시차가 한 시간 앞으로 달리고, 봄엔 한 시간 뒤로 set back됩니다. 이유는 바로 햇빛때문이에요.결울엔 낮시간이 많이 줄여서 시차를 일부러 한 시간 앞으로 해 놓습니다. 그리고 시차가 바뀌었으니까 더 이른 아침에 일어날 수밖에 없게 됩니다. 이렇게 해서 낮시간은 약간 더 많아진 것처럼 느끼고, 더 오래 일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봄엔 낮시간이 원래대로 많아져서 시차를 다시 한번 뒤로 세트합니다. 이런 현상은 Daylight Savings Time [ 줄여서 DST]이라고 합니다. 유타주의 옆주인 애리조나주는 DST를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유타주는 합니다. 그래서 제 귀중한 수면 시간은 한시간으로 깎였습니다.
13. März 2014 01:31
Korrekturen · 4
1

DST 데이라이트사이빙타임

(1) 세이빙

미국에선 1년에 2번씩 시차가 바뀝니다. 겨울엔 시차가 한 시간 앞으로 달리고, 봄엔 한 시간 뒤로 set back됩니다.

(1) 겨울엔 시계바늘이 한 시간 앞당겨지고, 봄엔 한 시간 뒤로 되돌려집니다.

      겨울엔 시간이 한 시간 앞당겨지고, 봄엔 한 시간 뒤로 되돌려집니다.

이유는 바로 햇빛때문이에요. 결울엔 낮시간이 많이 줄여서 시차를 일부러 한 시간 앞으로 해 놓습니다.

(1) correct

(2) 줄어서

*As other editors pointed out, you can also say '겨울엔 해가 짧아져서'.

그리고 시차가 바뀌었으니까 더 이른 아침에 일어날 수밖에 없게 됩니다.

(1) 시간, 시간대(time zone), 기준 시간(reference time)

시차 (time difference) is often used when comparing different time zones of different regions. Mentioning it once or twice is ok but since you are not comparing them much, what about using 시간대 instead? 

이렇게 해서 낮시간은 약간 더 많아진 것처럼 느끼고, 더 오래 일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봄엔 낮시간이 원래대로 많아져서 시차를 다시 한번 뒤로 세트합니다. 이런 현상은 Daylight Savings Time [ 줄여서 DST]이라고 합니다. 

(1) correct

Just wanted to remind you that you use '은' when you are comparing two things, like you said 겨울'엔' and 봄'엔'. But here 낮시간 is not being compared with anything. But '은' also indicates slight emphasis. So, you can say '낮시간은'.

(2) 느껴지고

The subject is daylight and it cannot feel. It has to be felt.

(3) correct

As other editors mentioned, you can also say '해가 원래대로 길어져서'.

(4) 뒤로 돌려놓습니다

Koreans will understand the word '세트하다' or '세팅하다' but they rarely use it.

(5) 라고

You use '이라고' when a word with 받침 precedes it.  (ex) 서머타임이라고 합니다. 

유타주의 옆주인 애리조나주는 DST를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유타주는 합니다. 그래서 제 귀중한 수면 시간은 한시간으로 깎였습니다.

(1) 옆에 있는 주

Although '옆주' is correct, the combination '옆' + '주' is not common and thus can create confusion.

(2) 한 시간 깎였습니다.

한 시간으로 깎였습니다 means 'reduced to one hour', meaning you can sleep only one hour now.

 

13. März 2014

몇 군데만 고쳐볼께요.

 

DST 데이라이트사이빙타임 (한국에서는 썸머 타임이라고 부릅니다.)

 

미국에선 1년에 2번씩 시간이 바뀝니다. 엔 시간을 한 시간 앞으로 조정하고, 가을엔 한 시간 뒤로 조정해요.

 

가을엔 낮시간이 짧아지기 시작하기 때문에 ..............

봄엔 낮시간이 길어지기 시작하기 때문에 ................

 

것을 미국에서는 Daylight Savings Time[줄여서 DST]이라고 합니다.

13. März 2014

DST 데이라이트사이빙타임

미국에선 1년에 2번씩 시차가 바뀝니다. 겨울엔 시차가 한 시간 앞으로 달리당겨지고, 봄엔 한 시간 뒤로 미뤄집니다. 이유는 바로 햇빛때문이에요(왜냐하면 햇빛 때문이에요.). 겨울엔 낮시간이 많이 줄어서 시차를 일부러 한 시간 앞으로 당겨 놓습니다. 그리고렇게되면 시차가 바뀌었으니까어서 더 이른 아침에 일어날 수밖에 없게 됩니다. 이렇게 해서 낮시간은 약간 더 많아진 것처럼 느껴지고, 더 오래 일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봄엔 낮시간이 원래대로 많아져서 시차를 다시 한번 뒤로 미룹합니다. 이런 현상을 Daylight Savings Time [ 줄여서 DST]이라고 합니다.

유타주의 옆주인 애리조나주는 DST를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유타주는 합니다.(유타주의 옆주인 애리조나주는 DST를 하지 않지만, 유타주는 합니다. 혹은 우리의 옆주인 애리조나 에서는 DST를 하지 않지만, 우리는 합니다.) 그래서 제 귀중한 수면 시간은 한시간으로가량 깎였습니다(혹은 줄어들었습니다).

 

우리는 주로 낮시간을 '해' 라고 사용해요. 

ex) 겨울엔 해가 짧아져서 금방 어두워집니다. 

 

역시 한국어 실력이 대단하네요 카르멘!!!!

13. März 2014
아 죄송해요. 그 반대예요. 봄엔 한 시간 앞으로 가고, 가을엔 한 시간 뒤로 해요.
13. März 2014
Möchten Sie schneller voran kommen?
Treten Sie dieser Lern-Community bei und testen Sie kostenlose Übun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