Выбрать из множества учителей по предмету английский...
dmncp179
한살차이 호칭은 뭐라고 하면 되나요?

안녕하세요?

한살차이 사람을 뭐라고 불러야 돼요? 그리고 존댓말 아니면 반말을 써야 돼요?

왜냐하면 저는 95녕생인데 94년생 아주 친한 형 한명인데 그 형을 계속 형이라고 부르고 존댓말 써요. 반말과 존대말을 썪어서 쓸 때도 많지만 제가 반말만 쓰면 그 형이 저한테 바로 왜 반말을 하냐고 묻기 때문이에요. 

그렇지만 어제 저보다 한 살 적은 여자를 한 명 만났는데 바로 저한테 반말만 쓰고 있고 뭐야? 한살차이야라고 그랬어요.

남자와 남자이면, 남자와 여자이면 달라요?? 

이제는 제가 그 한살차이 경우 때 뭘 하면 좋을지 하나도 모르겠어요. 엄청 어려운 것 같아요 ㅠㅠ 혹시 이걸 잘 아시는 분 있나요?

23 февр. 2017 г., 13:08
Комментариев · 3
1

비공식적인 자리면 반말, 공식적인 자리면 높임말,

친한 사이면 반말, 어색한 사이면 높임말,

나이가 적으면 반말, 나이가 많으면 높임말.

나이가 많은 사람과 친해지면 우리 이제 말을 놓자고 하고 반말을 쓸 수 있어요! (나이차가 적은 경우에만).


제 생각에는 첫번째 사람은 친해도 높임말을 받고 싶은 거 같고

두번째 사람은 친근감을 나타내려고 반말을 쓴 것 같아요.

남자와 남자 혹은 남자와 여자라고 달라지는 건 없어요.

다만 , 사람에 따라서 반말이 싫을 수도 있고 존댓말이 너무 딱딱한 느낌이라서 말을 놓자고 하는 사람도 있고...


저도 한국인이지만 높임말문화는 약간 애매한 것 같아요... :(


23 февраля 2017 г.
1

보통 한살차이인 경우 존댓말을 잘 쓰지 않아요. 물론 호칭은 형이라고 부르지만요.

한살차이에 존댓말을 쓰는 경우라면 제 생각에는 세 가지 정도로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첫 번째는 장난을 치고 있는 거에요. 두 번째는 위, 아래 관계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이라서 존댓말을 당연히 써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일지도 모르겠네요. 마지막은 두 사람의 사이가 매우 가깝지 않기 때문일 지도 모르겠네요. 

그리고 성별이 다른 경우에는 대부분 한살차이 정도는 애교(?)로 보고 반말을 하며 지내요. 

이렇게 쓰고보니 한국어가 좀 어렵긴 하네요.

23 февраля 2017 г.
1

원래는 나이차이가 있을때는 무조건 존댓말을 쓰는게 원칙이에요

쌍방의 동의가 있을 시에는 반말을 써도 되고요 

본인이 원하지 않는데 반말을 계속 쓰는 연하 상대에게는 정중하게 따지세요. 기분 나쁘다고.

남자 / 여자 그런거 상관없어요. 본인이 싫으면 싫은 겁니다. 

23 февраля 2017 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