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d English Teachers
Soori
발음 문의
받침 'ㅇ' 뒤에 첫음절이 'ㅇ'으로 시작하는 경우 'ㄴ'으로 바뀌어 발음할까요? ['ㅇ'+'ㅇ' -> 'ㅇㄴ' ???]
**예를 들어, '경양'을 발음할 때 -> [경냥] 혹은 [겨냥]으로 들리는데 제가 잘못 들은 건가요?
저 외국인이라서 그런지 확실이 같은 'ㅇ'으로 시작한 건데 첫음절과 뒷음절의 소리가 다르게 들리는데, 뒷음절의 'ㅇ'을 어떻게 발음하면 옳은 건가요?
답변 잘 부탁드립니다.
Aug 20, 2017 6:23 AM
Answers · 3
1
더 깊이 논하자면, ㅇ 받침 다음에 ㅇ 초성이 오면 ㄴ으로 발음해야 한다는 규칙은 없읍니다.
다만 이런 경우 두 번째 음절을 힘주어 발음하면 ㄴ처럼 들리게 됩니다.
예를 들어 '용용 죽겠지?'라는 어린이들이 서로를 놀리는 말이 있는데, 이 경우 '용용'은 아무런 뜻이 없이 놀리는 소리일 뿐이므로 두 음절을 다 힘주어 소리내게 돼서 [용뇽]이 되며 사전의 표준발음도 [용뇽]입니다.
또한 '영원히'와 비슷한 뜻인 '영영'도 사전에는 [영영]으로 나와 있이지만 [영녕]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의기 양양하다'의 '양양'도 비슷한 현상으로 [양냥]처럼 발음하기도 합니다.
이런 말들은 다 ㅇ받침 다음의 모음이 '이' 계통(이, 야, 여 등)일 때만 일어나는 현상으로 'ㄴ 첨가' 현상이라고 합니다. 즉 받침 있는 음절 뒤 새 말의 첫소리로 '이' 계통의 모음이 오면 ㅇ 소리를 정확히 발음하기 어려워져서 자연스럽게 ㄴ이 더해지는 현상으로, '일본 요리'[일본뇨리], '특급 열차'[트끔녈차]' 같은 많은 예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두 형태소(낱말) 사이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으로 독립된 단어의 안에서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경영'은 하나의 단어이므로 '영'을 새로이 힘주어 말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항상 [경녕]이 아니라 [경영]으로 발음합니다.
이런 발음 현상들은 그 원리도 복잡하고 예외도 많을 뿐더러 원어민들도 언어 습관에 따라 달리 발음하거나 틀리기도 하므로 초급자는 특별히 유의하지 않아도 괜찮다 하겠습니다.
August 21, 2017
제 귀엔 경양이 경양으로 들리는데요. 한국어 사전에서도 발음이 경:양입니다.
August 20, 2017
Still haven’t found your answers?
Write down your questions and let the native speakers help you!
Soori
Language Skills
Korean, Vietnamese
Learning Language
Korean
Articles You May Also Like

The Power of Storytelling in Business Communication
39 likes · 9 Comments

Back-to-School English: 15 Must-Know Phrases for the Classroom
25 likes · 6 Comments

Ten Tourist towns in Portugal that nobody remembers
55 likes · 22 Comments
More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