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 Broccoli
학교에 태형대해서 어떻게 생각해요? 학교에 태형대해서 어떻게 생각해요? What do you think about corporal punishment in schools? 최근에 저는 한국학교에 제벌대해서 이비데오를 봤어요: I recently watched this video about corporal punishment in Korean schools: https://www.youtube.com/watch?v=Bv_d6laoxzM 이것 대해서 성실하게 생각했어요. 만약 이비데오은 맞으면 미국보다 한국더 제벌을 허용해요. 그른데 한국사회의 의견이 바꾸고 있는 것 같아요. 사실 미국사람이 어떻게 허용하는 게 또한 바꿨어요. 저는 중학교에 할 때 파들으로 태형했어요. 사실 내보기 저는 이것을 선호했어요. 자주 저는 제벌하가나 부모를 전화되는 것 결정할 수 있었어요. 때마다 태형을 결정했어요. I thought seriously about this. If this video is accurate, corporal punishment is far more accepted in Korea than in America. However, Korean society’s attitude seems to be changing. Actually, there have been changes in how Americans accept it as well. When I was in junior high school, it was accepted to use a paddle for corporal punishment. I myself was occasionally paddled in junior high school. As for me, I actually preferred it. Usually, I was given a choice of corporal punishment or calling my parents. I chose corporal punishment every time. 그렇지만 이비데오에 태형더 미국보다 강렬해요. 미극사람의 관점에서 만 보는걸 알겠어요. 어떻게 생각하는걸 말하주세요. 여러분, 한국에 제벌은 문제 이가나 가르치려고 필요해요? 어릴 때 태형된 작이 있어요? However, the corporal punishment in this video is much more intense than my own experience in America. I understand that I am looking at this subject from an American point of view. Please tell me what you think. Is corporal punishment in Korea a problem, or is it necessary for education? Did you ever experience corporal punishment when you were young?
6 ต.ค. 2014 เวลา 1:04
การแก้ไข · 2
1

학교에 태형대해서 어떻게 생각해요?

->학교에서 체벌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해요?

*태형= 조선(Joseon)시대 때 죄를 짓고 이에 대한 벌로써 이루어지는 형벌 중 하나입니다. (지금은 "태형"은 없습니다)

*체벌= 신체에 직접적인 고통을 주는 벌을 말하고 보통 교육적으로 벌을 줄 때 체벌이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최근에 저는 한국학교에 제벌대해서 이비데오를 봤어요:

->최근에 저는 한국학교의 체벌에 대한 비디오를 봤어요.

*한국에서는 " : " 의 기호를 문장 끝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z.B) 문 : door

 

이것 대해서 성실하게 생각했어요.

->이것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했어요.

*성실하다: 태도나 행동이 진실하고 참 되다 ( z.B 성실하게 학교에 나옵니다)

*진지하다: 마음쓰는 태도가 참되고 착실하다 ( z.B 나는 그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했어.)

**한국말로 쓸 때 성실이나 진지가 서로 영어로 모두 serious 로 똑같이 나오고 사전에 나오는 뜻도 동일하게 나오는데 사용하는 방법은 다르니 위에 예로 든 것을 보면서 비교를 해보세요

 

만약 이비데오은 맞으면 미국보다 한국더 제벌을 허용해요.

->(만약) 비디오가 사실이라면/맞다면 미국보다 한국에서 체벌 더 많이 허용해요.

->(만약) 비디오가 사실이라면/맞다면 미국보다 한국에서 체벌이 더 많이 허용되어요.

*주어subject의 조사로 은.는.이.가 를 일반적으로 사용하지만

 때로는 단체나 무리일 경우 "에서"를 주격조사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아주 어려운 문법)

*허용하다; ~(subject)가 ~(object)을 허용하다

*허용되다; ~(subject)이/가 허용되(된)다

 

**( 한국사람이 위의 문장을 쓴다면 )

(만약) 비디오가 사실이라면 미국보다 한국에서 체벌이 더 심각합니다.

*심각하다; 상태나 정도가 매우 깊고 중대(매우 중요)하다---주로 부정적인 경우에 사용

z.B) 청년일자리 부족이 매우 심각하다/ 산불로 인한 피해가 심각하다

 

그른데 한국사회의 의견이 바꾸고 있는 것 같아요.

->그런데 한국사회의 의견이 바뀌고 있는 것 같아요.< 그런데 한국 사람들의 생각이 많이 달라진 것 같아요.

 

 

사실 미국사람이 어떻게 허용하는 게 또한 바꿨어요.

-> 사실 미국사람이 어떻게 허용하는 지에 대해 또한 바뀌었어요. < 사실 미국에서도 그것에 대한 허용방식에 변화가 있었어요.

*바뀌다= 바꾸어지다 be changed = 변화가 있다 there is an alterations        ~이 바뀌다(present). 바뀌었다.(past)

*바꾸다;   ~을 바꾸다(present) . 바꾸었다=바꿨다 (past)-->바꿨(다) + 어요 = 바꿨어요.

  

저는 중학교에 할 때 파들으로 태형했어요.

-> 내가 중학생일 때는 처벌에 대한 도구로 패들을 선택했어요./ 내가 중학생일 때는 패들로 맞았어요.

*태형하다(x)- 때리다(o)/체벌을 (가)하다(o) ----------  hit/ beat

*맞다--------------------------------------------------- be beated

 

사실 내보기 저는 이것을 선호했어요.

->사실 내보기에 이것(패들) 나았어요.

->사실 저는 이것이 나았어요. /저는 이것을 선호해요.

 

* "내보기에" 는 "내가 보기에"의 줄임말입니다 (내보기(x))

* "내보기에"와 "저는/내가" 가 함께 쓰이면 주어 I 의 의미의 중복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둘 중에 하나만(either "내보기에" or "저는/내가" 사용하는 게 자연스러운 문장이 될겁니다.

*낫다; ~가 (~보다) 낫다. -> 낫(다)+ 아= 나아

  

 

 

자주 저는 제벌하가나 부모를 전화되는 것 결정할 수 있었어요.

->보통 저는 체벌이나 부모의 면담 중에서 선택할 수 있어요.

*면담; 서로 만나서 이야기함(한국은 전화보다는 직접 부모가 학교에 와서 교사(선생님)과 만나서 이야기를 합니다)

 

 

때마다 태형을 결정했어요.

-> 늘/항상/언제나 체벌을 선택했어요./체벌을 선택하기로 결정했어요.

*때마다(X)

*~할 때마다(o) z.b) 학교에 갈 때마다

*때때로(o) ; occasionally

*"결정하다"가 틀린 것은 아닌데 어떤 이유인지 (저도 모르겠어요ㅠㅠ) 모르지만 위와 같은 문장에서 한국 사람들은 "결정하다"보다는 "선택하다/~하기로 하다"를 더 잘 쓰는 것 같아요~~

** 위의 상황에서 당신은 어떤 잘못을 했고 그 잘못에 대한 처벌로 체벌을 선택한 것입니다.

당신에게는 처벌의 종류를 결정할 선택권이 있을 뿐, 당신이 처벌 받지 않도록 결정내리는 입장은 아니기에,

그런 맥락에서 왠지 "선택"이라는 말이 더 위의 문장에 잘 맞는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이비데오에 태형더 미국보다 강렬해요.

-> 그렇지만 비디오에서 체벌은 미국에서의 나의 경험에서 보았을 때 더 심각합니다.

-> 그렇지만 비디오에서 체벌은 미국보다 한국이 더 심각합니다.

 

미극사람의 관점에서 만 보는걸 알겠어요.

->내가 미국사람의 관점에서만 보는 걸 알았어요.

 

어떻게 생각하는걸 말하주세요.

->어떻게 생각하는지 말해주세요.

*~하는 걸 = ~하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다(o) - 어떻게 생각하는지

*어떻게 생각하는 것= how what you think (x)

*당신이 생각하는 것을 = 당신이 생각하는 걸 (o) < 어떻게 생각하는지

*말하다 <-> 말해주다

*"~~주다" :[보조동사] 다른 사람을 위하여 어떤 행동을 함을 나타내는 말.

 

여러분, 한국에 제벌은 문제 이가나 가르치려고 필요해요?

-> 여러분, 한국에서 체벌은 문제입니까? 아니면 교육을 위해서 필요한 것입니까?

 

 

어릴 때 태형된 작이 있어요?

->어릴 때 여러분은 맞아본 적이 있습니까? /있나요?

*~한 적이 있다: ~한 경험이 있다 have experience ~

*맞아본 적이 있다= 맞(다)+보(다)은 + 적이 있다

6 ตุลาคม 2014
ต้องการความก้าวหน้าที่เร็วขึ้นหรือไม่
เข้าร่วมชุมชนแห่งการเรียนรู้และทดลองใช้แบบฝึกหัดฟรี!
Mr. Broccoli
ทักษะด้านภาษา
ภาษาเยอรมันแบบออสเตรีย, ภาษาบอสเนีย, ภาษาอังกฤษ, ภาษาฝรั่งเศส, ภาษาเยอรมัน, ภาษาฮังการี, ภาษาญี่ปุ่น, ภาษาเกาหลี
ภาษาที่เรียน
ภาษาเยอรมันแบบออสเตรีย, ภาษาบอสเนีย, ภาษาฮังการี, ภาษาญี่ปุ่น, ภาษาเกาห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