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picked a good person to marry.
좋은 배우자감을 골랐어요.
From Naver
'고르다'와 '뽑다'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
Here is difference between '고르다' and '뽑다'
1. '뽑다'는 박혀 있는 무언가에 힘을 가하여 밖으로 빠져 나오게 하는 일을 가리킵니다.
'뽑다' means "to pull out something."
■ 흰머리를 뽑았어요.(O)
■ 흰머리를 골랐어요.(X)
■ 치과에서 충치를 뽑았어요.(O)
■ 치과에서 충치를 골랐어요.(X)
2. '뽑다'는 어떤 자격에 적합한 대상을 가려 내는 일을 가리킵니다.
'뽑다' means "to single someone out"
■ 5년마다 대통령을 뽑아요.(O)
■ 5년마다 대통령을 골라요.(X)
3. '고르다'는 어떤 대상을 가려내어 그것을 가지고 어떤 행위를 할 경우에 사용합니다. '뽑다'는 대상을 가려낸 후에 그것으로 특별한 행위를 하지 않아도 좋습니다.
'고르다' is used when someone choose something and do something with it.
■ 남자를 잘 골라서 결혼해라.(O)
■ 남자를 잘 뽑아서 결혼해라.(X)
4. '뽑다'는 대상을 밖으로 나오게 하는 것이 기본 의미입니다. '고르다'는 어떤 것을 다른 것들과 따로 구별해 내는 일을 가리키므로, 고른 후에도 대상이 여전히 다른 것들과 나란히 놓여 있을 수 있습니다.
'고르다' is used when someone choose something in mind.
■ 알맞은 답을 고르세요.(O)
■ 알맞은 답을 뽑으세요.(X)
The usage of 선택하다 is almost same with 고르다.
From
http://koreanselfstudyisntlame.blogspot.com/2010/08/vs.html
It might be enough to point out that 선택하다 is used more formally and in situations where there's a set number of choices whereas 고르다 is more casual, broad and without limitations.
선택하다
to choose (limited*, formal*)
고르다
to choose, select, pick (unlimited*, casual*)
*I think what might help to explain these two is to set up some situations. If you went shopping, using 고르다 is more natural as in:
언니! 어떤 치마가 더 이쁜지 골라봐!
여보, 나 대신 와이셔츠 하나 골라줘.
Using 선택하다 here would sound awkward here. The reason being is that you're choosing out of the entire store. It's your choice and is more limitless. Another example might involve an interview process:
A: 면접은 어땠어? 결과가 나왔어?
B: X회사랑 Y회사랑 둘다 합격했어. 어디를 가야할지 고민이야..
A: 나라면 X회사를 선택하겠어..
Or in this case, you could use both. Take a look at the slightly different nuance each speaker has:
A: 이 가방 둘 다 마음에 드는데 어떤 걸 골라야 할까...
B: 가야겠다. 빨리 선택해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