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소
긁히다(피동사) 긁히다(피동사) 예: 1)양 쪽 귀가 모두 긁혀서 상했다 2)그는 큰 길에서 넘머져 얼굴을 긁혔다 “긁히다”는 피동사인데 앞에 “을/를”이 아닌 “이/가”를 사용해야 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 2)에서 “을”을 사용했으니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26 Thg 11 2013 10:13
Câu trả lời · 5
1
긁히다(피동사) 예: 1)양 쪽 귀가 모두 긁혀서 상했다 2)그는 큰 길에서 넘머져 얼굴을 긁혔다 “긁히다”는 피동사인데 앞에 “을/를”이 아닌 “이/가”를 사용해야 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 2)에서 “을”을 사용했으니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네 그렇습니다. '긁히다'는 동사 '긁다'의 피동사입니다. 음...결국 올 것이 오고 말았군요. ㅎ 미소님도 이미 잘 아시겠지만, 한국어의 피동태는 영어나 중국어에 비해서 상당히 까다로운 편입니다. 피동형 문장은 일반적으로 '목적어'를 취하지 않습니다만.... 하지만! '이중목적어'를 갖는 능동형 문장을 피동형 문장으로 바꿀 때에는, 위와 같이 '목적어'가 붙을 수 있습니다. 도대체, 왜 그렇게 되느냐고 묻지는 말아 주세요. 그냥, 그렇게 된다는 것만 기억하세요. 특히, 한국어의 '이중주어와 이중목적어'에 대해서는 아직도 완벽하게 체계화 되어 있지 않으니까요. 국어학자마다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ㅎ 예를 들면, 철수가 영희를 손을 잡았다. (중목적어: 영희를 and 손을, 이 문장은 문법적으로 맞는 문장입니다) 철수가 영희의 손을 잡았다. (중목적어는 조사 '의'를 사용하여 포함관계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위의 문장을 피동태(피동사-잡히다)로 바꾸면 아래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영희의 손이 철수에게 잡혔다. or 영희가 손을 철수에게 잡혔다. 자, 이제, 위의 두 번째 문장의 어순(word order)을 살짝 바꾸면, 영희가 (손을) (철수에게) 잡혔다. 영희가 (철수에게) (손을) 잡혔다. 따라서, 그는 큰 길에서 넘어져서 얼굴을 긁혔다/긁히었다 O or 그는 큰 길에서 넘어져서 얼굴이 긁혔다. O
26 tháng 11 năm 2013
1
"을/를" 또는 "이/가"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다시 말해 자동사로도, 혹은 타동사로도 쓰일 수 있습니다.
26 tháng 11 năm 2013
Bạn vẫn không tìm thấy được các câu trả lời cho mình?
Hãy viết xuống các câu hỏi của bạn và để cho người bản xứ giúp bạ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