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설명을 드리자면, 받침 "ㅎ"의 발음은 크게 세 가지 경우로 볼 수 있겠습니다.
1. ㅇ 앞 묵음화: 좋아->조아, 쌓으면->싸으면, 빻아서->빠아서
2. ㄴ 앞 변형: 좋니->존니, 쌓니->싼니, 빻는->빤는
3. 다음 자음에 첨가: 좋게->조케, 좋다->조타, 좋소->조쏘, 좋지->조치
* 예외: 노랗니->노라니, 하얗니->하야니 (노란니, 하얀니로 발음하기도 함)
말씀하신 "ㄴ 첨가"는 다음의 두 조건이 충족될 때 일아나는 것 같습니다.
1. 다음 음절이 "이" 성분으로 시작할 때 (야,여,요,유,예,이)
2. 다음 음절이 현 음절과 한 단어를 이루지 않을 때
ex)
무슨 일, 일본 요리: 다음에 "이" 시작 음절이 오고 새 어휘를 시작
잠깐만요: "잠깐만" 자체가 한 단어로 "요" 는 새로운 의미의 어미를 더함.
필요->피료: "요"는 "필요"라는 단어의 한 부분이므로 ㄴ 첨가가 일어나지 않음.
긴요, 만연, 필연, 간이, 단연, 분야, 순연, 인연, 잔여, ...: 같은 경우로 ㄴ 첨가 없음.
ㄴ 첨가는 말의 시작에 오는 "이" 발음이 다른 "ㅇ" 음절에 비해 발음하기 부자연스럽기 때문에 앞의 ㄴ과 동화되는 것으로 보면 됩니다. 그리고 한 단어냐 아니냐는 문법 법칙보다는 화자의 생각에 좌우되어서 많은 예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예로 "슬픈 인생"은 ㄴ 첨가 없이 "슬프닌생"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은데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이를 상용의 문학적 표현으로 간주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